본문 바로가기

이슬람사5

이슬람은 페트라에서 시작되었을까? 2011년 캐나다 작가 댄 깁슨(Dan Gibson)은 『코란의 지리학(Qur'ānic Geography)』이라는 책을 출판하며 이슬람의 기원에 관한 아주 도발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바로 예언자 무함마드가 태어나고 활동한 곳, 이슬람이 시작된 곳이 우리가 아는 대로 메카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깁슨이 제시한 이슬람의 발상지는 어디일까? 바로 요르단의 페트라다. 깁슨이 제시한 주장의 기본 골자는 간단하다: 1). 코란과 무함마드의 생애에 관한 전승에서 나타나는 지형과 지리적 묘사가 일치하는 곳은 현재의 메카가 아닌 바로 페트라다. 2). 이슬람력 1-2세기, 즉 600년대와 700년대 건설된 모스크의 예배 방향(키블라)는 메카가 아닌 페트라를 향해 있다. 마이클 렉커(Michael Lecker)는 깁.. 2021. 3. 21.
슈우비야, 현재로 소환된 과거의 망령(1): 슈우비야의 시작과 끝 슈우비야(Shu'ubiyyah) 운동은 압바스 시대 초기 페르시아계 무슬림을 중심으로 아랍 무슬림의 우월적 지위에 도전하는 경향 또는 운동이었다. '슈우비야'라는 단어는 코란 49장 13절에 나오는 '민족들(shu'ub)'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되었다. 페르시아 주석가들은 '슈웁'을 아랍 부족인 '카바일(qaba'il)과 대응되어 '도시나 마을에 정착한 비아랍인'을 가리킨다고 해석했다(Mottahadeh, 168-171). 코란이 아랍 부족과 비아랍인들을 구분한다고 해석한 페르시아계 무슬림들은 곧 코란이 무슬림 공동체 내에 아랍인 이외의 다른 문화와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집단의 존재를 허용한 것이라고 생각했다(Mottahadeh, 182). "사람들이여, 우리는 너희를 남자와 여자로 창조했고 부족과 민족으로 .. 2020. 12. 21.
아랍인의 눈으로 본 예루살렘 함락 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 에밀 시뇰(Émile Signol), 1847년 작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Jerusalem_(1099) 흔히 예루살렘은 메카와 메디나에 이어 이슬람의 3대 성지라고 말한다. 그리고 1099년 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은 7세기 아랍인들이 정복한 이후 처음으로 예루살렘이 '이교도'의 손에 넘어간 사건이었다. 이 뿐만 아니라 무슬림 역사가인 이븐 알아시르(Ibn al-Athir, 1233년 사망)에 따르면 십자군은 무려 7만 명이나 되는 시민을 살해하고 성스러운 알아크사 모스크(Al-Aqsa Mosque)와 바위의 돔을 약탈하고 더럽혔다. 그렇다면 당대 무슬림들에게 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은 메카나 메디나가 비무슬림에 의해 점령된 것에.. 2020. 10. 16.
이븐 바투타의 이야기는 어디까지 사실일까:『여행기』속 표절과 창작 이븐 바투타의 『여행기』 필사본, 카이로, 1836년 출처: en.wikipedia.org/wiki/The_Rihla 1. 이븐 바투타, 축지법과 순간이동능력의 보유자? 이븐 바투타는 북아프리카에서 중국, 중앙아시아, 발칸 반도, 러시아 초원, 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을 여행하며 직접 경험하고 들은 바를 『여행기』라는 이름의 기록으로 남겼다. 그러나 현존하는 『여행기』가 이븐 바투타가 직접 쓴 기록은 아니다. 이븐 바투타의 고향인 탕헤르를 통치하던 마린 조의 술탄 아부 아난 파리스(Abu Anan Faris, 재위 1348-1358년)는 시인이자 문장가였던 이븐 주자이(Ibn Juzayy)에게 이븐 바투타의 여행담을 기록으로 옮길 것을 명했고, 그의 집필과 편집 과정을 거쳐 오늘날.. 2020. 7. 15.
용맹한 야만인 또는 잔혹한 압제자: 아랍인들의 투르크인 인식 변화 지난 글에서 간략하게 보았듯이 오늘날 아랍 지식인과 정치인 사이에서 오스만 제국을 압제와 착취, 아랍의 퇴보와 정체의 원인으로 간주하는 해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아랍인의 세력이 중앙아시아까지 침투하고 투르크인 유목민과 조우한 7세기 그리고 투르크인 노예 군인들이 압바스 조의 실권을 장악하기 시작한 9세기 이후 투르크인 그리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아랍인들의 시각은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아랍인과 페르시아인에 이어 투르크인들이 중동 무슬림권의 주요 행위자로 자리잡은 이래 아랍인이 투르크인을 바라보던 방식은 투르크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투르크인과 아랍인 사이의 권력 관계에 결부되어 변화했다. 특히 칼리프의 노예 군인로 무슬림권에 진입한 투르크인들이 결국 압바스 조의 그들의 칼리프를 허수아비로 만들고.. 2019. 12. 18.